난임&유전학 클리닉
365일 여자가 행복한 세상! 프라우메디병원이 함께 합니다.
일반적으로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가져도 1년 이내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전체 결혼한 부부 중 10 - 15%가 난임을 경험하고 있으며, 난임치료를 1년간 부부가 꾸준히 치료를 받았을 경우는 임신 확률이 약 50-70%가 됩니다.
정상적인 임신과정에서 어느 한 과정이라도 문제가 생기면 임신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런 난임의 원인은 남성측 원인과 여성측 원인 또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있는 복합적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난임검사는 난임의 원인을 찾아내는 중요한 검사로써 치료방법을 정하는데 근본이 됩니다.
난임검사는 월경주기에 따라 검사를 하게 됩니다.

남성 불임검사
1. 병력 및 진찰질병의 유·무, 성생활 습관, 음주와 흡연, 특수 직업여부, 과거 수술력, 사고 등을 조사하고 전문적인 진찰을 행합니다
2. 일반검사혈구검사 및 혈구침강속도, 소변검사, 전립선 분비물검사 등을 행합니다
3. 갑상선 호르몬 및 프로락틴 검사 4. 정액검사일정 기간의 금욕기간을 거친 후 깨끗하고 입이 넓은 용기에 정액을 채취하여 용기를 밀폐시키고 1시간 이내에 검사실에 도착하여 현미경 검사를 합니다. 이의 정상치는 한번 사정량이 2.5cc 내외에 1cc당 정자수가 3천만 이상이고 정액 채취 후 4시간까지 60% 이상의 운동성이 있고 비정상형이 25% 미만이어야 합니다
여성 불임검사
1. 병력 및 진찰자세한 월경력, 유산여부, 성생활습관, 음주 및 흡연습관, 골반염, 피임, 과거수술력 등 자세한 병력 조사와 함께 전문의의 자세한 진찰로서 전신상태, 자궁의 형태, 기형여부, 자궁점액검사, 염증 등 질병상태, 유류증 등을 진찰 합니다
2. 일반검사혈구검사 및 혈구 침강속도, 요검사, 세균검사, 매독검사, 자궁경부 세포액 검사 등을 합니다
3. 성교후 검사(심스-휴너 테스트) 이 검사는 배란기인 다음 월경 15~16일전에 계획하여 내원전 12~24시간 내에 관계를 갖도록 하여 자궁경관내의 점액의 양과 질을 조사하고 점액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활동성 있는 정자와 백혈구의 박테리아 유·무를 조사합니다
4. 자궁내막 검사자궁내막을 채취하여 조직 검사로서 배란 유·무 및 항체기 결함 여부를 검사하여 호르몬 상태를 관찰합니다
5. 자궁난관 조영술자궁과 난관내의 상태를 알기 위해 자궁경부로부터 조영제를 투입하여 X-ray 촬영을 하는 것으로 월경이 완전히 끝난 직후에 촬영합니다. 이 검사로서 자궁내 중격, 기형, 자궁내 유착, 점막하근종 등을 알수 있으며 난관의 폐쇄 여부와 폐쇄 부위 등을 알수있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6. 복강경 검사복강경 검사로는 복강내 자궁 상태와 나팔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 자궁내막증이나 골반유착과 그 정도를 진단하는 유일한 검사법으로서 대단히 유용하며 난소의 조직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난소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자궁경부로부터 인디고카민 같은 약제를 투입하여 난관 폐쇄 여부와 통과 시간을 조사하며 유착박리나 자궁내막증의 전기소작술이나 레이저 소작술로서 난임의 치료를 겸할 수 있습니다
7. 호르몬검사LH, FSH, 프로락틴 등 뇌하수체홀몬과 DHEA, DHEA-S 등 홀몬과 T4, TSH 등 갑상선홀몬과 프로제스테론 등 난소호르몬을 수시로 검사하여 여성생리의 조절상태와 배란여부 등을 조사합니다.
8. 기타검사기초체온검사로서 월경주기와 배란주기를 측정하고 자궁경부 점액을 조사하여 고사리잎형성 여부와 스핀카바트 등을 조사 배란여부를 추정하고, 자궁점액과 정액으로 면역학적 부적합 검사를 하고 기본적 검사에서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으면 염색체검사 등 추가 정밀검사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배란유도
난소 호르몬 장애를 초래하는 다낭포성 난소증후군 ( PCOS )이나 시상하부 미숙 또는 뇌하수체 장애로 인해서 성선 자극호르몬이 전혀 생산되지 않거나 혹은 분비 균형이 파괴되면 난포가 잘 자라지 못하고, 배란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등의 배란 장애가 옵니다. 이러한 배란 장애로 인한 난임은 클로미펜, 성선자극호르몬, 성선자극유리호르몬, 브로모크립틴등의 배란유도제를 이용하여 배란유도를 합니다.
인공수정 (IUI : Intra Uterine Insemination)
1. 생리 2일째 clomiphen 5일간 복용(2Ⓣ, 1일 1회 자기전 복용)
2. clomiphen 복용 3일째부터 호르몬주사 시작 (1일 1회 배란전까지 매일 주사)
3. 난포의 크기 확인을 위해 2-3일마다 초음파 검사
4. 난포 크기가 18mm가 되면 난포 터트리는 주사 맞음(PM 10시 1회 주사)
5. 주사 맞고 36시간내 인공수정 시행
6. 인공수정 당일 정액 채취(AM 9시까지 내원)
7. 정액 처리(활동성이 좋은 정자 선택)후 AM 11시경 인공수정 시행
8. 인공수정 1주일뒤 착상주사 1회 맞음
9. 인공수정 2주일뒤 피검사를 통한 임신여부 확인
(AM 11시 이전 검사시 PM 5시에 결과나옴-유선으로 결과 통보)
* 주사용량은 개인차가 있음.
1. 약물투여
시험관아기 (IVF : In Vitro Fertilization)
1. 배란확인후 superfact(호르몬주사) 1일 1회 생리 시작일까지 주사
2. 생리 시작 2일째 superfact 용량반으로 줄여서 맞음
3. 동시에 본격적으로 과배란유도 주사 시작
(주사명)menopur or gonal-F : 1일 1회 배란전까지 계속 배주사로 맞음
4. 난포의 크기 확인을 위해 2-3일마다 초음파 검사
5. 난포 크기가 18mm가 되면 난포 터트리는 주사 맞음(PM 10시 1회 주사)
6. 주사 맞고 36시간째 난자 채취(채취 소요시간 10-20분)
7. 난자 채취 당일 정액 채취
8. 난자개수, 상태에 관해 진료실에서 설명
9. 난자 채취 후 다음날부터 progesterone(임신유지호르몬) 피검사 하는 날까지 1일 1회 주사
10. 난자 채취 당일 수정시키고 3일 동안 배양
11. 배양 3일째 이식하거나 수정란 상태가 좋을 경우 동결로 전환
12. 이식 2주후 피검사를 통한 임신여부 확인
(AM 11시 이전 검사시 PM 5시에 결과나옴-유선으로 결과 통보)
* 주사용량은 개인차가 있음.

1. 염색체검사 유전물질로 이루어진 염색체가 환경적 요인, 유전 독물, 기형 물질, 세포 분열의 실수 등으로 치명적 손상을 입으면 염색체이상으로 동반되는 심각한 기형 등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람의 세포(융모막 융모, 양수, 제대 혈액, 말초혈액)를 조직 배양하여, 세포 분열 중기상의 염색체를 획득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분석하여 염색체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것입니다.
- 임산부 - 산전 진단의 방법으로 융모막 융모검사, 양수 검사, 태아 제대혈액 등을 통하여 태아의 염색체 이상 유무 확인
- 소아 및 유아 - 발육부진, 지능박약, 성기이상 등 일 때, 말초혈액을 채취하여 검사
- 성인 - 난임, 무정자증, 생리불순 및 무월경 등 일 때 말초혈액을 채취하여 검사
이와 같이 염색체 검사는 산전 진단, 정신 박약, 성장 지연이나 다발성 기형, 이차 성징 및 발육 이상, 난임 및 유산을 포함하는 각종 질환 진단과 종양진단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시술비 중 일부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킴으로써 임신·출산의 사회·의료적 장애를 제거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지원대상
- 난임시술을 필요로 하는 의사 진단서 제출자
- 법적 혼인상태에 있는 부부로서 접수일 현재 여성의 연령이 만 44세 이하인 자
- 전국가구 월평균소득 150%이하인 자
- 소득판별기준 :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을 기준으로 가족수 별 건강보험료 이하인 자
가족수·가입유형별 소득판별 기준표
가족수 | 전국가구 월평균 소득(150%)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2인 | 5,539천원 | 165,233 | 186,972 | 168,374 |
3인 | 6,164천원 | 182,709 | 205,709 | 187,058 |
4인 | 7,104천원 | 209,938 | 232,302 | 217,369 |
5인 | 7,265천원 | 217,369 | 239,253 | 225,421 |
6인 | 7,426천원 | 225,421 | 247,200 | 234,351 |
7인 | 7,587천원 | 225,421 | 247,200 | 234,351 |
8인 | 7,748천원 | 234,351 | 256,108 | 244,417 |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액 : 장기요양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상세보기가 포함되지 않은 금액임
- 소득판별 기준표 적용기간 : ’13.1.1~ ‘13.12.31일까지 적용
- 6인과 7인 가구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이 동일한 이유 : 6인가구 및 7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을 평균건강보험료 구간에 대비할 때 동일구간으로 적용됨에 따라 가구원수별 보험료 본인부담금의 차이가 없는 결과가 산출됨
* 노인장기요양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치매/중풍의 노화 및 노인성 질환 등으로 인하여 혼자 힘으로 일상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대상자에게 요양시설이나 재가 장기요양기관을 통해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
지원내용
- 인공수정 시술비 1회 50만원 3회까지 지원
- 체외 수정 시술비 1회 180만원 4회까지 지원
- 난임부부가 기초생활수급자인 경우 300만원 범위내 지원
신청방법
- 신청방법 : 관련 서류들을 지참하여 부인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접수
- 접수가 되면 보건소는 지원 대상 여부를 확인하여 지원결정통지서를 발급
- 발급받은 지원결정통지서를 시술기관에 제출하고 시술 진행
- 문의처 : 주소지 보건소, 보건복지콜센터 129
이용절차
- 체외수정시술비 지원 절차
- 인공수정시술비 지원 절차
제출서류
- 체외수정시술 지원신청서 1부 내려받기
- 인공수정시술 지원신청서 1부 내려받기
- 난임 진단서(산부인과, 비뇨기과 발급)
- 주민등록등본 1부
- 건강보험카드 사본 1부
- 최근월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납부 영수증 또는 납부확인서, 급여명세서(원본대조필) 1부
- 사업자등록증명원(맞벌이 부부 중 자영업자의 경우)
- 위촉증명서(보험설계사 등), 계약서 사본 및 계약이행확인서(프리랜서) 등 현재 근무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1부(맞벌이 부부 중 학원강사, 보험설계사, 프리랜서 등 근로소득을 적용받지 않는 사람으로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인 경우)
산전검사가 필요한 산모
- 35세 이상의 고연령 임신인 경우
- 2회 이상의 습관성 유산이 있는 경우
- 기형아 출산 경험이 있는 산모
- 배우자나 산모 자신이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 배우자나 산모 자신이 항암제 또는 기형을 유발시키는 약물을 복용한 경우
- 배우자나 산모 자신이 염색체 이상이 있을 때
- 염색체 이상이 있는 아이를 낳은 경우
- 배우자나 산모의 근친 중 염색체 이상 또는 기형이 의심되는 경우
- 인공수정, 시험관 수정으로 임신이 된 경우
- 초음파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 Quad test(혈청학적 marker)검사 등에서 이상 수치가 나온 경우
융모막 검사 (Chorionic Villi Sampling)
- 융모막 융모 생검법은 임신초기(10-12주)에 시행합니다.
- 이전 과거력 상 유전적 위험이 있거나 기형아 출산 경력이 있는 산모 또는 태아 목덜미 투명대 이상 산모가 이 검사를 시행합니다.
- 초음파로 태아의 심장 박동, 태반의 위치, 융모막 융모의 두께 및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융모의 두께가 얇으면 한 주 연기될 수 있습니다.)
- 검사 후 태아의 심장 박동을 산모와 함께 확인한다.
- 조직세포를 단기, 장기 배양하고 염색체 결과는 1주-2주 후에 받아 볼 수 있습니다.
※ 시술 후 행동 지침 : 산모는 며칠동안 조깅 등 무리한 운동을 피하시고 쉬십시오. 만약 많은 출혈과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시면 병원으로 내원하셔야 합니다.
양수검사 (Amniocentesis)
- 일반적으로 임신 중기에 시행하는데 이 시기에는 양수가 약 200-225ml 가량 생성되므로 검사에 필요한15-20ml의 양수를 채취하는데 적당한 시기입니다. 이 때는 자궁고도가 상승하여 경복식 천자가 용이하며 배양 성공률이 높기 때문에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전 과거력 상 유전적 위험이 있거나 기형아 출산 경력이 있는 산모, 혈청학적 marker 검사 등에서 이상 수치가 나온 산모 고령산모 기타 이상이 의심되는 산모가 이 검사를 시행합니다.
- 초음파로 태아의 심장 박동, 태령, 태아의 수를 확인한 후 양수가 많은 곳을 선점하여 시술하고 염색체검사 결과는 약 2주 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 시술 후 행동지침 : 산모는 며칠동안 조깅 등 무리한 운동을 피하시고, 조용히 쉬십시오. 만약 양수 누출 현상과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시면 병원으로 내원하셔야 합니다
태아 제대천자검사
- 태아의 제대에서 혈액을 채취는 검사입니다.
- 임신 20주 이상의 산모에서 주로 초음파검사에서 기형이 의심 될 경우 또는 양수검사 결과에서 나온 이상을 재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도 실시합니다.
말초 혈액검사
- 신생아 또는 성인의 경우 염색체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혈액 3-5ml 채취합니다. 선천성 기형을 가지고 태어난 아기, 반복 유산을 경험한 부부, 기형아 출산력이 있는 부부, 2차 성징이 나타나지 않는 사춘기 남녀, 정신 지체아, 태아의 산전 염색체검사에서이상이 발견된 부부 등을 대상으로 합니다. 염색체 결과는 약 3주 후에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유산아 태반 · 기타 조직을 이용한 검사
- 유산된 태아의 유산 원인을 밝히기 위해 태반. 피부조직을 소량 채취하여 검사합니다.
- 조직세포를 장기배양하고 염색체 결과는 약 3주 후에 받아 볼 수 있습니다.